In South Korea, cross-border e-commerce sales into the country are rapidly increasing across product categories from home care to small appliances. This is due primarily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Chinese-affiliated e-commerce marketplace platforms, which are winning adherents thanks to their offer of sometimes shockingly low prices.
アジア太平洋地域は、世界最大のRTDコーヒー市場だ。2020年の小売販売量は45億リットルに達し、世界の総販売量の約80%に及ぶ。同市場を支えているのは、世界の総販売量の半分以上を占める、最大市場国の日本である。しかし、アジア太平洋地域の市況は徐々に変わりつつある。
As more European luxury brands tap South Korean celebrities as brand ambassadors, this podcast explores the growing influence of South Korean culture in fashion and beauty. The podcast also seeks to distinguish between what European and South Korean consumers look for in the luxury brands they choose and value.
※本記事は英語でもご覧頂けます:Impacts on South Korea’s E-commerce Market After Shinsegae’s eBay Korea…
In 2020, COVID-19 led lockdown accelerated the advocacy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in India. Home isolation gave the time and opportunity to the Indian consumers to deep dive into the Korean culture through K-Dramas and K-Pop and experience it…
South Korea’s e-commerce market has shown tremendous growth over the past decade. As it reaches maturity, it will become more challenging for retailers to take market share away from competitors, especially among the top players unless a…
Even amid the COVID-19 pandemic, the pet care market is set to record the highest value growth in 2021 globally over the last decade. This is due to people relying more on their pets to overcome loneliness during lockdown. South Korea…
This article is part of a series on COVID-19 focusing on how the outbreak is affecting industries. Please note the selected goods data used is through 23 February 2020. While originating in China, COVID-19 quickly spread to South Korea, with the…
South Korea's apparel and footwear market is a mature market and is stagnating, showing less than 2% growth in 2019. In this matured market, there are two trends that could spark growth in the future. The first is "newtro", which is a combination of…
대체육류, 식물성 우유 등 2019년을 관통한 식품 시장 주요 키워드는 단연코 ‘플랜트 베이스(plant-based)’이다. 기후변화, 동물 복지 등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의식 변화로 인해 육류 및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는 것에 동의하는 소비자들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며, ‘비건=쿨(cool)’ 하다는 인식이 Z세대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유로모니터가 실시한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5년과 2019년의 응답을 비교했을 때…
국내 최대 규모의 커피 및 차 산업 박람회인 서울 카페쇼가 지난 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올해는 2,000여 개의 부스가 80여 국가, 16만명의 관람객을 반겼다. 소비자와 카페 산업 종사자들의 뜨거운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신제품을 소개하는 체리스 초이스와 영업용(on-trade) 카페 채널을 조명한 커피 앨리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들이 많이 선보였는데, 눈에 띄는 트렌드 세 가지를 정리해봤다. 트렌드 1: 지속가능한 친환경 카페…
South Korea’s largest yearly coffee and tea expo, Seoul International Café Show 2019, took place on November 7-10. It hosted 600 exhibitors,more than 160,000 visitors from 80 countries and hundreds of industry leaders revealed their new product…
Since Consumers are no longer brand loyal nor celebrity, the desire to have more experiences on various products at same place is rising. Drugstores/Parapharmacies is getting more popular, as consumers can take a look and give some try on various…
Heated tobacco products are one of the most exciting innovations in the tobacco industry in South Korea, and the country is the second largest market for heated tobacco products in 2017 and 2018. JUUL is the next contender entering the South Korean…
영양과 수분보충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들 사이에 기능성 음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음용량이 높은 생수나 차에 카페인 등을 추가해 일상생활에서 섭취가 가능한 에너지 드링크로 포지셔닝 했다. 성장하는 음료 시장, 떠오르는 기능성 음료 2018년 기준 국내 리테일 음료 시장 규모는 약 48억 리터로, 250미리 캔을 기준으로 환산 했을 때 인구 한 명당 약 350캔의 음료를 소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5년 전만 해도…
2019년 글로벌 식품시장 트렌드는 ‘더 간편하면서 건강한 먹거리’가 시장을 이끌어 갈 것이다. 서유럽과 미국은 글루텐 프리ㆍ락토 프리 등 프리 프롬 식품이 대세를 이루고 클린 라벨 포장이 늘어나며, 아시아시장은 기능성 성분이 첨가된 제품이 강세를 보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밀키트ㆍ도시락 정기 배송 시장이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서유럽ㆍ미국 시장 - 글루텐 프리ㆍ락토 프리 …프리 프롬 식품 '대세' 2019년에도 ‘건강한 삶’은…
On June 5,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o reform the tax system on beer from price-based to volume-based system beginning with beer and ta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o address imbalances in taxes between imported and domestic…